Search /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HWAHAK KONGHAK,
Vol.15, No.1, 61-70, 1977
국내탄화수소의 지하저장계획
Plan for Hydrocarbon Underground Storage in Korea
오늘날 탄화수소화합물을 대량지하 저장하는 것은 가장 경제적인 저장방법으로 알려지고 있고, 타국에서는 많이 성행되고 있다. 그러나 회수난으로 Light hydrocarbon만을 취급한다. 일반적으로 고갈된 유전을 지하 가스 저장고로 전환하여, 지하수가 그 저장량을 조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저장예들이 기술과 공업설계 및 분리를 기술하려고 한다. 국내에서도 가스의 다량비축문제가 대두하고 있어, 이러한 지하저장방법의 응용이 시급하여 지고 있다. 여기서는 3개의 지하저장안을 고찰하였다. 첫째 석유자원개발시추에서 남은 dry hole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 경우 shale과 aquifer의 존재가 필요하다. 둘째 같은 가정하에서 지하열회수후 온수정을 작은 지하저장고화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제주도 만장굴을 LPG 비축에 이용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제안을 현실화하자면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공학적난점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연구개발을 하여야만 할 것이다.
The underground storage of hydrocarbons is the most economical engineering method known to store a large volume of hydrocarbons and has been widely practiced else where in the world. Because of the recovery difficulties, however, this storage technique is confined to light hydrocarbons.
Usually, depleted oil and gas reservoirs are converted to underground gas storages where the underline aquifer behavior controls the storage volume and the pressure. Actual case study examples are decribed in this paper together with the engineering design and model analysis.
Because of the growing Korea's need for bulk volume gas storage, development plans are necessary to apply some of these techniques to Korea. Three different underground storage possibilities are proposed. The utilization of dry holes resulted from petroleum exploration work is a possibility for gas storage if an impermeable rock structure extends over an aquifer. Alternatively, the low temperature geothermal well could similarly be converted to a small gas storage under same assumptions, after a successful energy recovery operation for a moderate economic gain. Lastly, the Jejudo Manjanggool natural cave is a good prospect for a constant volume LPG storage. Because of the many uncertainties and engineering difficulties, sufficient development work must be carried out before attempting to put these into actual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