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Vol.56, No.1, 56-60, 2018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전기방사 멤브레인의 미세입자 제거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Comparison in Carbon Nanotube Embedded Electrospun Membranes for Particulate Matter Removal
미세입자가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관심이 증가하여 공기 중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멤브레인 필터의 성능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왔다. 필터 섬유 제조 기술 중 전기 방사 기술이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으며, 수 백 nm에서 수 십 μm 까지의 균일한 직경의 섬유를 제조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전기 방사 기술로 생성한 섬유는 초극세 섬유로서 섬유의 생성과 동시에 3차원의 네트워크로 적층된 형태의 다공성 웹은 초박막, 초경량이며 기존 섬유에 비해 부피 대비 표면적비가 높고, 높은 기공도를 가지는 멤브레인을 제조 할 수 있으므로, 전기 방사 멤브레인의 여과 필터 성능이 크게 향상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polystyrene, cellulose acetate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섬유 두께, 탄소나노튜브의 조성비에 따른 필터로서의 여과성능을 살펴보았으며, 필터소재의 성능 비교실험 결과 적정량의 CNT 소재의 첨가로 인해 필터의 여과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embrane filters as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has been of great interest due to the negative effects. Among the membrane fabrication techniques, the electrospinning technique is the most promising because it can produce uniform fibers ranging from nano to micrometer size. The electrospun membranes will greatly improve the filtration performance due to the high ratio of surface area to volume and the high porosity. In the present study, polystyrene (PS) and cellulose acetate (CA) polymers were used to produce the membranes with carbon nanotube (CNT), showing the filtration performances were improved with the optimal amounts of CNT.
[References]
  1. Jeon B, J. Environmental Sci., 21(7), 815, 2012
  2. Bae H, J. Environ. Health Sci., 40(5), 346, 2014
  3. Park Y,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9(2), 122, 2002
  4. Wang N, Si YS, Wang N, Sun G, El-Newehy M, Al-Deyab SS, Ding B, Sep. Purif. Technol., 126, 44, 2014
  5. Mottaghitalab V, Haghi AK, Korean J. Chem. Eng., 28(1), 114, 2011
  6. Shin DG, Jin EJ, Lee YJ, Kwon WT, Kim Y, Kim SR, Riu DH, Korean Chem. Eng. Res., 53(3), 276, 2015
  7. Cavaliere S, Subianto S, Savych I, Jones DJ, Roziere J, Energy Environ. Sci., 4(12), 4761, 2011
  8. Sill TJ, Recum HA, Biomaterials, 29(13), 1989, 2008
  9. Su Z, Ding J, Wei G, RSC Adv., 4, 52598, 2014
  10. Gupta P, Elkins C, Long TE, Wilkes GL, Polymer, 46(13), 4799, 2005
  11. Han S, Rutledge GC, Chem. Eng. Sci., 123, 557, 2015
  12. Reneker DH, Yarin AL, Polymer, 49(10), 2387, 2008
  13. Lee MH, Song W, Kim Y, Jang SW, Choi WC, Park C, Appl. Science Convergence Technology, 21(1), 41, 2012
  14. Park S, Kim J, Han S, Korean Chem. Eng. Res., 55(1), 68, 2017
  15. Zhang YY, Yuan S, Feng X, Li HW, Zhou JW, Wang B, J. Am. Chem. Soc., 138(18), 5785, 2016
  16. Liu C, Hsu P, Lee H, Ye M, Zheng G, Liu N, Li W, Cui Y, Nat. Commun., 6, 6205, 2015
  17. Schneider CA, Rasband WS, Eliceiri KW, Nat. Methods, 9(7), 671, 2015